
1921년에 태어난 아론 벡은 인지 요법의 아버지로 불린다. 미국의 심리학자이자 정신과 의사이기도 한 아론 벡은 인지치료를 창시했는데, 그의 인지 치료는 우울증을 비롯한 다양한 정신장애를 인지적 관점을 바탕으로 치료하기 위한 치료적 방법으로 제시되었다. 지금부터 벡의 인지치료의 의의와 특징, 인지 치료의 원리, 주요 개념들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자. 인지 치료의 특징 벡은 인지적 관점을 바탕으로 우울증 등을 비롯한 정신적인 어려움을 겪는 자들을 치료하기 위한 기법으로 인지치료(cognitive therapy)를 개발하였다. 정신과 의사였던 벡이 인지치료(ct)를 제시할 무렵에는 우울증은 정신분석적 방법이나 행동주의적 방법으로는 잘 치유되지 않는 경향이 있었다. 그는 우울증을 겪는 사람들을 치료하는 과정에..

타임지가 선정한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 100인에 포함된 인지 발달 이론의 최고 대가인 피아제는 스위스의 철학자이자 심리학자이다. 생물학적 연구를 시작으로 점차 아동의 심리적 발달에 관심을 옮겨가면서 생물학적 연구와 철학적 연구의 교집합을 찾고자 한 피아제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피아제 이론의 배경과 기본 원리, 발달 단계의 순서로 살펴보자. 피아제 인지 발달 이론의 배경 장 피아제는 아동 연구를 시작하면서 처음으로 아동용 지능 검사를 제작하였다. 아이들의 반응을 정답과 오답으로 분류하는 것이 지루하게 느껴졌지만, 아동들의 오답에서 흥미로운 점을 발견하게 된다. 아이들의 오답에는 실수가 있고, 그 실수는 일정한 유형으로 분류된다는 것이다. 즉, 아이들이 어른들보다 더 똑똑하지 못한 존재가 아니라 사고하..

은 인간의 2가지 사고 체계인 이성과 직관 사이의 충돌과 융합을 창의적으로 분석해 낸 유명한 저서이다. 지난 25년 동안 엄청난 수의 심리학자들의 단골 연구 주제인 빠르게 생각하기와 느리게 생각하기를 다루고 있다. 대니얼 카너먼은 동료 심리학자인 트버스키와 함께 경제학에서 이야기하는 기대 효용의 허점을 지적하고 새로운 전망 이론을 주장했다. 그 두 사람은 전망 이론을 토대로 인간의 의사결정은 꼭 합리적이거나 이성적이지만 않다는 것을 밝혀냈다. 이 이론은 합리적 경제인이라는 경제학의 명확한 전제를 붕괴했다는데 큰 의미가 있다. 빠른 생각과 느린 생각, 기억하는 자아와 경험하는 자아, 이 대치를 넘어서는 곳에 인간의 행복에 다가가는 열쇠가 있다고 그의 저서는 이야기한다. 그가 던진 이 질문은 심리학을 새로운..

이라는 저서는 미국의 문화심리학자 얀 발지너가 인간과 문화의 관계를 통합적으로 파악하려는 관점에서 새로운 문화 심리학을 제시한 책이다. 얀 발지나 는 '인간이 맨몸으로 외부와 대치하는 것을 막는 구조'의 모든 것이 문화라고 이야기한다. 시시각각 변화는 환경에서 살아 남아 다음 세대에게 이어지게 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지를 문화의 역할에 중점을 두고 연구했다. 지금부터는 문화와 심리학의 관계에 대해 규명해 보고, 일반 문화 심리학에서 본 문화에 대해서도 이해해 보자. 그리고 복선 경로 동등성 접근법에 대해서도 살펴보도록 하자. 문화와 심리학의 연관성 문화와 심리학 사이에는 어떤 연관이 있을까? 문화가 어떻게 구성원의 심리적 과정을 반영하고 형성하는지를 연구하는 학문인 문화심리학은 일반적으로 비교 문화..